과목개요
경제학의 기본개념, 수요·공급의 시장이론, 분배이론과 그 응용국민소득이론, 화폐금융이론, 재정이론, 경제변동이론, 후생경제이론, 노동경제이론 및 경제계획이론 등의 기초개념과 그 초보적 응용 등을 다룬다.
• 경제원론2 (Principles of Economics 2)
경제학의 기본개념, 수요·공급의 시장이론, 분배이론과 그 응용국민소득이론, 화폐금융이론, 재정이론, 경제변동이론, 후생경제이론, 노동경제이론 및 경제계획이론 등의 기초개념과 그 초보적 응용 등을 다룬다.
• 경제수학(Mathematics for Economics)
수리적 경제모형을 분석하기 위한 선형대수학, 미적분학 등을 배운다.
• 경제통계(Statistics for Economics)
확률과 통계적 추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룬다.
• 회계원리(Principles of Accounting)
회계의 기초지식을 복식부기를 중심으로 공부한다. 이 과목의 목적은 기업의 의사결정의 기초적인 정보제도를 이해하는 데 있다. 그 내용은 장부조직과 재무제표 작성을 위한 손익의 산정, 자산평가 등이다. 이 과목은 모든 회계학 과목의 선수과목이다.
• 퓨처 리더스 코스(Future Leaders Course)
리더십이론과 실제를 접목하여 탁월한 리더십을 개발하도록 한다. 보통사람들이 리더로 성장하는 과정을 실제 사례를 연구하면서 탐구한다. 회사내 다양한 상황에서 리더십을 발휘한 사람들의 경험담을 소개한다. 아울러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리더십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자신의 리더십 개발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적용할 수 있도록 실습을 한다.
• 북&시네마 금융(Finance in Book and Cinema)
금융관련 영화를 통하여 영화에 나오는 금융관련 용어 및 금융시장의 이슈(역사)에 대해 학습한다. 금융실무와 가장 관련이 깊은 책 3권을 선정하여 책 속에 포함되어 있는 전문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토론함으로써 실무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금융시장론(Financial Markets)
한국의 금융시장 전반에 대해 소개하고 외환시장에 대하여 이해를 돕는다. 환율 변동의 요인들과 환율제도와 외환위기, 케이스 스터디 등의 문제를 통하여 금융시장에 대한 이해를 한다.
•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소비자이론, 기업이론, 시장이론, 요소시장 및 분배론을 다룬다.
• 금융제도와 법(Finance and Law)
금융에 관한 법을 배우고 실제 적용되는 사례를 다룬다.
•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거시경제학 집계변수(소득, 물가, 고용, 국제수지 등)가 어떻게 결정되며 상호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한 정부정책의 효과에 관해서 연구한다. 개방 경제하에서의 정부정책의 한계성 및 상호의존성 문제도 다루어진다.
• 주식투자론(Stock Investment)
주식투자에 대한 기본적 이론과 실전을 배우고 기본적분석 ,기술적분석, 포트폴리오이론, 가치평가 등을 배운다.
• 금융경제학(Economics of Money, Banking, and Financial Market)
가계, 금융기관 등 금융주체자의 금융 행위를 분석하고 금융자산의 종류와 성격, 금융시장의 성격, 제도 및 경제적 기능 등을 다루고 또한 화폐의 수급, 이자율 및 통화량과 국민소득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정책효과를 분석한다.
• 경제학특강(Topics on Economics)
경제학의 여러 주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이미 배운 경제이론을 심화시키는 한편, 학생들이 생각한 바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경제이론을 현실에 응용하는 능력의 배양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학생들이 직접 쓴 글을 발표하게 함으로써 논문작성과 발표에 대한 기본 소양을 쌓게 하는 것도 강의의 한 중요한 축면이다.
• 기업평가의 이해(Firm Analysis)
애널리스트는 기업을 어떻게 평가하나? 제조, 서비스 및 금융업 분석자료를 읽고 이해, 다양한 업종에 대한 기본지식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평가의 기본적 이론을 익히고 업종에 대한 시각 및 특징을 알며 주요 애널리스트들의 특강을 통하여 기업평가를 이해한다.
• 국제금융론(International Finance)
국제금융거래와 환율에 대한 이론과 정책적 함의를 배운다.
• 기업금융과 투자전략(Corporate Finance and Investment Strategy)
포트폴리오 및 자본시장 이론을 이해하고 다양화된 금융시장에서 기업의 자금조달 및 투자수단, 위험관리 등에 대한 기본을 습득한다.
• 채권투자론(Bond Investment)
채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자율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실제적인 투자전략을 실습한다.
• 파생상품론(Derivatives)
파생상품의 핵심적 개념을 이해하고 금융기관에서 다루는 금융상품들을 함께 분석한다.
• 금융공학의 이해(An Understanding of Financial Engineering)
증권시장 및 선물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채권 그리고 선물 및 파생상품 등의 거래 메카니즘과 위험관리 등을 수학적 분석도구로 이용한 금융공학(수리-계량적) 기법을 활용해 쉽게 설명, 이해하도록 한다.
• 금융시장과 산업조직(Financial Market and Industry Organization)
산업조직에 대한 경제학 이론을 배우고 이를 금융시장에 적용한다.
• 금융계량경제학(Financial Econometrics)
통계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금융자료를 이용하여 금융시장을 분석한다.
• 금융세법과 조세(Finance Law and Tax)
국가조세와 재정에 대한 이론을 배운 후 금융 산업과 관련된 조세제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 부동산/SOC 투자실무(Special Lectures on Real Assets and SOC)
부동산투자와 사회간접자본투자에 대한 실무를 배운다.
• 금융경제실무특강(Practical Lecture on Monetary and Financial Economics)
증권, 보험, 은행, 자산운용 등 다양한 금융 분야에 있는 현직 금융전문가들의 금융실무와 현안에 대한 강의를 듣는다.
• 투자 심리와 행동경제학(Behavoral Economics)
현대경제학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행동경제학에 대해 공부한다. 인간이 합리적이지 못하는 사례와 투자심리에 대해서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이해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실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케이스를 분석해 본다.
• 사모펀드(Private Equity & Venture Capital) 개요 및 실무
창업자금이나 기업의 성장자금을 투자하는 벤처캐피털(Venture Capital)과 기업의 경영참여나 경영권인수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사모펀드(PEF)에 대한 이론 및 실무 중심으로 이해한다.
• 노동경제학(Labor Economics)
노동의 수요와 공급, 노동임금, 소득분배, 노동조합 및 노사관계 등에 대한 이론과 정책을 다룬다.
• 금융경제학세미나(Seminar in Financial Economics)
금융경제학에 대한 최신 이론을 배우고 이를 실무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국제무역론(Theory of International Trade)
비교우위에 의한 교환과 분업, 국제무역으로 인한 무역이익의 발생, 국제무역 패턴의 결정, 교역조건의 결정, 무역정책, 외국인직접투자 등을 다룬다.
• 가치투자의 이해(Value Investing)
주식투자의 한 방법인 가치투자에 대해 배우고 이를 주식투자에 이용하는 방법을 실습을 통해 습득한다.
• 외환∙파생상품과 환리스크 관리(Foreign Exchange Derivatives)
주식, 채권과 더불어 3대 금융시장 중 하나인 외환시장과 통화선도, FX스왑, 통화옵션 등 외환파생상품시장의 기본적인 이론과 특성을 습득하고, 시장 매커니즘을 이해한다. 이를 통해 외환관련 자산 운용에 대한 실무 지식을 학습한다. 외환∙파생상품 운용 실무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기업 및 금융기관 실무자 입장에서 해외투자, 외화자금조달, 수출입 기업의 환리스크 관리 등 외환관련 발생하는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및 실무지식을 학습한다.